독서노트

[북리뷰] 클루지

움직임에 관하여 2022. 7. 19. 20:53

클루지란

어떤 문제에 대한 서툴거나

세련되지 않은 

해결책을 뜻한다

 

왜 이런 클루지가 

생기게 될까?

 

그건 기존의 생각을 

고수하면서

해결책을 찾다 보니

이러한 결과가 생긴다

 

클루지는 우리 몸과 

마음에도 존재한다

 

우리 몸을 들여다보면

쓸데없이 긴 것도 있고,

 

구조적으로 위치가 이상한 것도 있다

 

왜 그럴까? 그건...
이전에 있던걸 기초로
다음 진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마음(정신)도 마찬가지이다

 

내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생각과

정확하지 않은 기억과 맥락

환경으로부터 얻어진 신념

나의 취향 등...

 

이러한 것들을 바탕으로

우리는 결정을 내리거나

행동을 하기에

 

종종 서툴거나

세련되지 않은

"클루지"가 나온다 

 

이런 클루지를 피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1. 대안이 되는 가설들을 함께 고려하라

 

우리가 집착하는 것과는 다른 생각이나 가능성에 대해서 성찰을 하는 것이다

꼭 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그것 말고 다른 것을 하였을 때의 나를 생각해보는 부분 일 수 있고

 

어떠한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서

다른 선택을 했을 때를 한번 생각해본다면

조금 더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2. 문제의 틀을 다시 짜고 질문을 재구성하라

 

사태를 긍정적인 면도 고려를 하지만, 회의적인 눈으로 바라보고

상대의 질문을 재구성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다

 

3. 상관관계가 인과관계가 아님을 명심하라

 

"발이 큰 사람과 지식이 높은 사람 간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 글을 보고

 

"오 그럼 발 크면 지식이 높구나!"

이런 오류에 빠지지 말자

 

발이 크다가 주는 단순한 사실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왜 이게 상관관계가 있을까란 분석이 필요하다

 

발이 크다(성인), 발이 작다(유아) 그렇기에

이러한 상관관계가 나오지 않았을까? 란 생각이 필요하다

 

4. 표본의 크기를 결코 잊지 말라

 

결론을 도출할 때 근거가 되는 자료의 크기를 생각을 해야 한다

작은 자료를 가지고 현상을 설명하려고 한다면

오류에 빠지기 쉽다

 

내가 어떠한 자료를 설명받을 때도

항상 그 설명이 어느 정도의 표본을 가지고 있는지를

생각해 보자

 

5. 자신의 충동을 미리 예상하고 앞서 결정하라

 

우리는 순간의 충동에 휩싸여 있을 때보다, 미래를 계획할 때

더 나은 상태가 되기 쉽다

 

"나"를 분석해서 나의 행동을 예측하여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자

 

6. 막연히 목표만 정하지 말고 조건 계획을 세워라

 

목표를 우리는 수치화해서 정하면 구체적으로 정했다고 생각을 한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정하는 것과 실천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다

조건을 제시하게 되면, 그 조건이 성립이 되었을 때 실천하기가

쉽고, 터무니없는 실천목표를 제거할 수 있다

 

난 주 5회 공원을 3바퀴 돌 거야 

-> 난 비가 오지 않는다면, 공원을 3바퀴 돌 거야

 

7. 피로하거나 마음이 산란할 때는 되도록 중요한 결정을 내리지 말라

 

피로하거나, 마음이 산란할때는 우리 몸의 체계 중에 이성이 아닌

본능에 가까운 반사 체계가 작동을 하기에 결정이 그릇될 때가 있다

 

그렇기에 이성에 가까운 숙고 체계를 작동시키는 환경에 있을 때

결정을 하도록 하자 

 

8. 언제나 이익과 비용을 비교 평가하라

 

눈앞에 있는 이익에 우리는 많이 흔들린다

그 이익을 취할 때는 반드시 선택하지 않은

기회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이익과 선택하지 않은 기회비용의

비교가 필요하다

 

9. 누군가 나의 결정을 지켜보고 있다고 상상하라

 

우리는 가끔씩 혼자서 공부할 때보다

카페에서 공부를 할 때 잘된다는 느낌을 받는다

이는 카페에서는 누군가가 나를 보고 있다는 생각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럴 때는 나의 본능보다는

이성에 가까운 행동을 하게 된다

 

우리가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이렇게 누군가 나를 보고 있다고

생각을 한다면 이성에 가까운 결정을 내릴 수 있다

 

10. 자신에게 거리를 두어라

 

우리의 마음은 가까운 것과 먼 것에 대해서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까운 것은 구체적으로

먼 것은 추상적으로 생각한다

 

많은 자기 계발서에

지금의 중요성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이 책에서 다루는 거리는 

지금이 안중 요하다는 것이 아니다

 

내가 어떠한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할 때

그것을 내일도 원할까를 생각해보자

 

내일도 그걸 원한다고 한다면

중요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11. 생생한 것, 개인적인 것, 일화적인 것을 경계하라

 

우리는 성공한 사람에 대해서 선망한다

그리고 생생한 그의 성공담과

일화를 들을 때면, 나도 그렇게 되고 싶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가 그 성공한 사람과

같은 환경이 아님을 경계하자

 

조금 더 비 개인적이고, 높은 확률을 만들어

진행하자

 

12. 우물을 파되 한 우물을 파라

 

우선순위에 관한 이야기이다. 

 

가끔 상담을 하다 보면

"저에게는 모든 게 다 소중해요"

이렇게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모든 게 소중하다

그런데 선택은 해야 한다

 

13. 합리적으로 되려고 노력하라

 

이렇게 생각하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겠지만

이것이 다른 것들과 시너지를 일으켜

도움을 줄 것이다

 

 

한 번쯤 꼭 읽고 싶었던 클루지

힘들게 다 읽은 책이었고

 

정리 또한 힘들게 진행이 되었다

 

나에게도 서툴거나 세련되지 않은

클루지가 있진 않은지

생각해보게 되는

좋은 시간이었다

 

 

 

728x90
728x90